[Server] 포트포워딩으로 외부환경에서 접속하기
1. cmd 창에 ipconfig 치기
ipconfig
1-1. 또는 제어판 - 네트워크 및 인터넷 -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- 빨간 밑줄 부분 클릭
둘 중에 한 가지 방법으로 하면 네트워크 연결 세부 정보가 나올 것이다.
2. 무선 LAN 어댑터 Wi-Fi -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확인(cmd 창일 때)
2-1. 또는 IPv4 기본 게이트 웨이 주소 확인(제어판일 때)
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브라우저에 친다.
그러면 공유기 홈페이지가 나온다.
로그인 한다.
로그인 방법은 공유기마다 다를텐데, 나 같은 경우는 SK여서
아이디 : admin
비번 : ((공유기 밑에 있는 유선 MAC 주소 뒤 6자리 ))_admin 이었다.
아마 로그인 아이디, 비번은 메뉴얼이 있거나 옆에 써있을 것이다.
3. 포트포워딩
고급설정 - NAT/라우터 - 포트포워드에 들어간다.
프로토콜 : TCP
외부포트 시작, 끝, 내부포트 시작, 끝 : 8080
내부 IP 주소 : 무선 LAN 어댑터 Wi-Fi - IPv4 주소
4. 내 IP 주소 확인
네이버에 내 IP 주소 라고 치면 조회할 수 있다.
5. 내 IP주소로 외부(4G, 5G)에 접속
외부 기기에서 내 IP 주소와 포트포워딩에서 설정한 포트 입력 후 접속
=> 내 IP 주소:8080
+) 설정한 포트를 뒤에 안붙여서 계속 안됐었다....
하지만!!!! localhost:8080 주소로 만들어 놓은 웹사이트가 없으면 당연히 실행이 안될 것이다!!!!
localhost 웹서버 구축 방법 (python이 설치돼있어야 쓸 수 있는 방법)
간단함!!!
1. cmd(명령 프롬포트) 들어가기
2. 웹에 띄우고 싶은 html 파일이 있는 폴더의 주소 복사
3. cmd에 "cd 복사한 주소" 넣기
4. cmd 창에 아래 코드 넣기
python -m http.server 8080
5. Chrome 주소창에 "localhost:8080" 입력
**주의**
이때 명령 prompt 창은 계속 켜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.
종료하면 localhost 웹 서버는 끊긴다.
레퍼런스
https://velog.io/@seoyoee/UMC-2%EC%A3%BC%EC%B0%A8-%ED%8F%AC%ED%8A%B8-%ED%8F%AC%EC%9B%8C%EB%94%A9-IP
[UMC Server] 2주차 - 포트 포워딩, IP
개인 컴퓨터 환경에서(Window or macOS) 포트포워딩을 통해 외부(4G, 5G 등)에서 접속하여 저번 주에 만들어둔 웹사이트 올려놓기. 아파치, MySQL, PHP 독립적으로 설치해 볼 것$ ipconfigcmd 창에서 위 명령
velog.io
[Web Server] 간단한localhost 웹 서버 구축 방법
그냥 html을 예제만 연습할 때는 굳이 웹 서버를 구축할 필요가 없었지만, 지도 API를 띄우려고 하니 등록한 웹 주소에만 이용 가능해서 웹 서버를 구축할 필요가 생겼다. 이렇듯 웹 개발을 하다보
hyunsitstory.tistory.com
'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PA] Chapter 3 영속성 관리 (0) | 2023.05.05 |
---|---|
[JPA] Chapter 2 JPA 시작 (0) | 2023.04.26 |
[JPA] Chapter 1 JPA 소개 (0) | 2023.04.06 |
[Windows] 서버 환경 구축 / XAMPP 설치 (0) | 2023.03.27 |
[Ubuntu] VirtualBox에 APM 웹서버 패키지 설치 (0) | 2023.03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