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s://dkan9634.tistory.com/174
[AWS] EC2 인스턴스 제대로 생성하기
AWS 프리티어 계정을 만들고 인스턴스 생성할 때 제대로 안해서 연결이 안됐었다... 1. 프리티어 계정을 만든다. 2. 홈에서 인스턴스 시작을 누른다. 3. 애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에서 Ubuntu를 선택
dkan9634.tistory.com
1편에 이어서 2편!
서버 공부를 하면서 탄력적 IP와 연결을 했었는데 아주 소액이지만 돈이 나갔다..
이 부분에서 과금되는 분들이 많은 걸로 알고 있는데 이 글을 보고 다들 돈 아끼셨음 좋겠다!
탄력적 IP 할당
1. 네트워크 및 보안 > 탄력적 IP에 들어간다.
2. '탄력적 IP 주소 할당'을 눌러준다.
3. '이 탄력적 IP 주소 연결'을 눌러준다.
4. 이렇게 뜨면 연결된 것이다.
이러면 이제 탄력적 IP주소와 인스턴스가 연결이 된 것이다.
여기서 주의할 점은 탄력적 IP 주소와 연결된 인스턴스를 중지시키면 안된다!!
내가 8시간 정도 중지시켜놨다가 과금이 됐다ㅎㅎㅎㅎ
근데 1시간 당으로 돈이 나가기 때문에 아주 잠깐 중지 시켰다가 시작하는 건 괜찮은 것 같다.
SSH 접속
나는 window 환경이라서 Virtual Box를 이용해야하나 생각했었지만 너무 번거로웠기 때문에 다른 방법을 찾아봤다.
1. MobaXterm을 설치하고 진행했다.
2. SSH 연결
- Remote host : 탄력적 IP
- Specify username 선택하고 ubuntu 입력
(우분투 사용하기 때문에 디폴트 계정명인 ubuntu
인스턴스 생성할 때 AMI를 다른 걸 선택했으면 다를 수 있음!
저번에 Ubuntu 말고 Amazon 어쩌고로 인스턴스 생성했었는데 그때는 디폴트 계정명인 ‘ec2-user’입력했어야했음!) - User private Key 체크 후 인스턴스 생성시 다운받은 .pem 키 선택
밑에 있는 OK 버튼을 누르면 연결이 되는데 만약에 안된다면 EC2 인바운드 규칙에 들어가서 22번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해야한다!
'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erver 기본 개념(서버, 클라이언트, 데이터베이스, 라이브러리, 프레임워크, 백엔드 개발자의 업무) (0) | 2023.09.26 |
---|---|
[AWS] EC2 인스턴스 제대로 생성하기 (0) | 2023.08.08 |
[JPA] Chapter 5. 연관관계 매핑 기초 (0) | 2023.05.25 |
[JPA] Chapter 4. 엔티티 매핑 2 (1) | 2023.05.17 |
[JPA] Chapter 4 엔티티 매핑 1 (0) | 2023.05.11 |